이순신 장군의 명언

집안이 나쁘다고 탓하지 마라.

나는 몰락한 역적의 가문에서 태어나

가난 때문에 외갓집에서 자라났다.

머리가 나쁘다 말하지 마라.

나는 첫 시험에서 낙방하고

서른 둘의 늦은 나이에 겨우 과거에 급제했다.

좋은 직위가 아니라고 불평하지 말라.

나는 14년 동안 변방 오지의 말단 수비장교로 돌았다.

윗사람의 지시라 어쩔 수 없다고 말하지 말라.

나는 불의한 직속 상관들과의 불화로

몇 차례나 파면과 불이익을 받았다.

몸이 약하다고 고민 하지 마라.

나는 평생동안 고질적인 위장병과

전염병으로 고통 받았다.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불평하지 말라.

나는 적군의 침입으로 나라가 위태로워진 후

마흔 일곱에 제독이 되었다.

조직의 지원이 없다고 실망하지 마라.

나는 스스로 논밭을 갈아 군자금을 만들었고

스물 세 번 싸워 스물 세 번 이겼다.

윗사람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불만 갖지 말라.

나는 끊임 없는 임금의 오해와 의심으로

모든 공을 뺏긴 채 옥살이를 해야 했다.

자본이 없다고 절망하지 말라.

나는 빈손으로 돌아온 전쟁터에서

열 두 척의 낡은 배로 133척의 적을 막았다.

옳지 못한 방법으로 가족을 사랑한다 말하지 말라.

나는 스무 살의 아들을 적의 칼날에 잃었고

또 다른 아들들과 함께 전쟁터로 나섰다.

죽음이 두렵다고 말하지 말라.

나는 적들이 물러가는

마지막 전투에서 스스로 죽음을 택했다.

자료제공 : 핫클릭 체인 시스템

—————————————–
충무공 이순신이 남긴 명언을 통해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서해어룡동 맹산초목지 (誓海漁龍動 盟山草木知 )

“바다에 맹세하니 어룡이 감동하고 산에 맹세하니 초목이 아는구나.”

‘이충무공 전서’ 중 15권에 실린 “진중음”으로 임금의 피난 소식을 접한 후 나라의 앞날을 근심하면서 충신의 굳센 의지와 장부의 기개 및 충혼을 표현한 말씀으로 원문은 “임금은 서쪽으로 멀리 가시고, 왕자님은 북쪽에서 위태한 오늘, 외로운 신하가 나라를 걱정하는 날이여! 이제 장사들은 공을 세울 때로다. 바다에 맹세하니 어룡이 감동하고 산에 맹세하니 초목이 아는구나. 이 원수 왜적을 모조리 무찌른다면, 비록 내 한 몸 죽을지라도 사양치 않으리라!’ 이다.

물령망동 정중여산(勿令妄動 靜重如山 )
“가벼이 움직이지 말라. 침착하게 태산같이 무거이 행동하라.”
1592년 5월 7일. 임진왜란 중 처음으로 출전한 옥포해전을 앞두고, 경상좌우도 수군과 육군의 패배 소식으로 긴장하고 당황한 군사들에게 공격에 대한 세부사항을 지시 후, 공포심과 전쟁경험 부족을 극복하고 전장에서의 여유와 냉철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말씀이다.

금신전선 상유십이(今臣戰船 尙有十二)

“이제 제게는 아직도 전선 십이 척이 있으니”

칠천량해전 이후 공께서 다시 통제사 재임명 교서를 받고 수군을 재정비한 결과 전선 12척에 군사 120명이라 “수군을 폐하고 육전에 참가하라”는 임금의 밀지에 수군을 없애서는 안 된다고 조정에 강력히 건의한 내용이다. 원문은 “이제 제게는 아직도 전선 12척이 있으니, 죽을힘을 다해 항거해 싸우면 오히려 할 수 있는 일입니다. .. 비록 전선은 적지만 제가 죽지 않는 한 적이 감히 우리를 업신여기지 못할 것입니다.” 이다. 이는 수군의 존속과 가치와 그 효용론을 강력히 주장한 공의 뛰어난 전략적 식견의 발언이라 하겠다.

필생즉사 사필즉생(必生卽死 死必卽生)

“싸움에 있어 죽고자 하면 반드시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왜선 133척을 전선 12척으로 싸워야 하는 명량해전을 앞두고, 9월 15일 전투력의 절대 열세를 정신력으로 극복하기 위해, 장수들의 전투의지 분발과 ‘결사구국’의 각오를 나타낸 말씀이다. 원문은 “병법에 이르기를 ‘죽고자 하면 살고, 살려고 하면 죽는다’고 하였고, 또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키면 천 명도 두렵게 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오늘 우리를 두고 이른 말이다. 너희 장수들은 살려는 생각을 하지 마라. 명령을 조금이라도 어긴다면 군법으로 처단할 것이다.” 이다.

차수약제 사즉무감(此獸若除 死卽無憾)

“이 원수를 무찌른다면, 지금 죽어도 여한이 없겠습니다.”

임진왜란 중 최후의 결전인 노량해전을 앞둔 1598년 11월 18일 밤 12시가 지날 무렵, 함상에서 손을 씻고 무릎을 꿇어 향불을 피우면서, 겨레의 생명과 나라의 보존을 위한 최후의 염원을 담아, 하늘에 빌었던 내용으로 충무공의 “결사보국” 정신의 말씀이다.

전방급 신물언아사(前方急 愼勿言我死)
“싸움이 한창 급하다. 내가 죽었다는 말을 하지 말라.”
1598년 11월 19일 아침, 마지막 노량해전의 대 격전 중 갑자기 날아든 총환이 뱃머리에서 독전하던 공의 왼편 겨드랑이를 맞혀 공께서 전사하는 순간 마지막까지 왜군의 격퇴를 염려한 ‘애국의 유언’이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