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Admin (Startup)

□ 오라클 서버의 시작 3단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 : 각 단계별 상태값 확인 및 변경방법
1. 현재 단계 확인 방법 : select status from v$instance;
  가. nomount : started
  나. mount : mounted
  다. open : open

2. 각 단계에서 상태 변경방법
  가. shutdown 단계 : startup [nomount | mount | open]
  나. shutdowm 이외의 단계 : alter database [SID] (mount | open | open read only )

□ pfile : 텍스트 파일, 사용자가 직접수정하는 파라미터 파일, 인스턴스 재시작 후 적용됨,
                initSID.ora 형태의 이름을 가짐, $ORACLE_HOME/dbs에 위치
                create pfile from spfile 로 생성가능 또는 $ORACLE_BASE/admin/SID/pfile의 샘플 pfile을 복사 후 사용

□ spfile : 바이너리 파일, 오라클 서버를 통해 수정하는 파라미터 파일, 인스턴스 재시작 후 적용됨
                 spfileSID.ora 형태의 이름을 가짐, $ORACLE_HOME/dbs에 위치
                 create spfile from pfile 로 생성가능

참고 : pfile 및 spfile
 기본적으로 pfile 및 spfile을 변경 하였을 경우 인스턴스의 재시작 후 변경사항이 적용되었음.
 하지만 오라클 10g부터 제공하는 SGA dynamic 기능으로 인스턴스의 재시작 없이 메모리 설정값의 변경이 가능해졌음,
 다만 변경값의 영구적인 적용을 원한다면 pfile 또는 spfile을 수정한 뒤 반드시 인스턴스의 재시작이 필요함

□ Startup 명령문
  – pfile, spfile 이 모두 존재하고, 별도의 명시가 없을 경우 spfile로 기본 시작됨
  – pfile만 있을 경우 pfile로 시작되며, spfile만 있을 경우 spfile로 시작됨
  – 아래와 같이 pfile의 경로 및 파일명을 명시해줄 경우 pfile로 시작할 수 있음
    sql> startup pfile=’경로 및 파일명’
  – 서버의 패치, 점검 등의 목적을 위해 허락된 사용자(restrict session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접속을 허용할 경우
    sql> starup restrict

참고 : 현재 pfile을 사용중인지 spfile을 사용중인지 확인하는 방법
sql> show parameter spfile
value 값이 널이면 pfile, 값이 널이 아니면 spfile

□ spfile의 사용 시 설정값 변경방법
  sql> alter system set undo_tablespace=’UNDO2′ scope=’both’;
  – pfile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scope의 디폴트 값 : memory
  – spfile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scope의 디폴트 값 : both

참고 : scope 옵션
– memory : 현재 인스턴스에 바로 적용. 단, 인스턴스 재시작 시 원위치
– spfile : 인스턴스 재시작 시 적용.
– both : 현재 인스턴스에 바로 적요, 인스턴스 재시작 시에도 적용

□ Shutdown 명령문
  – abort : 모든 트랜잭션, 세션 등 강제 종료, DB 무결성 파괴, Dirty Database
  – immediate : 모든 트랜잭션 강제 종료(commit, rollback 작업 실시), Checkpoint 신호 발생, Clean Database
  – transactional : 현재 실행중인 트랜잭션 종료 후 DB종료
  – normal : 현재 접속 사용자 연결종료 후 DB 종료

□ 모니터링 파일
  – alertSID.log file : 사용자의 명령, DBA의 관리명령, DB 관련 중요 이벤트 등 기록, BACKGROUND_DUMP_DEST 에 위치(parameter 파일에서 확인가능)
  – background trace file : background process의 error 로그기록, BACKGROUND_DUMP_DEST 에 위치
  – user trace file : 사용자 프로시저 등의 로그, 사용자가 강제로 발생시켜 확인, USER_DUMP_DEST에 위치

□ Data Dictionary
  –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중심
  – 읽기 전용 테이블 및 뷰로 구성
  – SYSTEM 테이블스페이스에 저장
  – 소유자는 SYS
  – Base tables(사용자는 볼 수 없음)와 Data dictionary views(수동으로 DB 생성 시 별도로 생성해야 함)로 구성
 
□ Data Dictionary View 범주
  – 정적인 View 로 구성
    (DML 작업이 이뤄지더라도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으므로 DBA가 수동으로 업데이트 시켜줘야 함)
  – USER_XXX ALL_XXX DBA_XXX 의 관계(DBA가 가장 큰 집합)

  참고 : Data Dictionary View는 DB Status가 Opne 상태일 때만 조회 가능하다.

□ Dynamic Performance Tables
  – 가상 테이블
  – 현재 데이터베이스의 상태값 저장
  – 소유자는 SYS
  – Synonyms은 v$로 시작함
  – v$instance, v$contronfile, v$database, v$datafile, v$parameter, v$session, v$version 등

□ Control File
  – 바이너리 파일
  – physical database(data file 등)의 현재상태값 저장
  – database의 무결성 관리
  – mount 단계로 가기 전 필요파일
  – Create databe 명령어를 통해 최초 생성
  – 파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중복생성(/u01/disk1/ctrl01.ctl, /u01/disk2/ctrl02.ctl, /u01/disk3/ctrl03.ctl 등)

참고 : control file의 추가 생성
control file이 사용중일 때(mount 단계 이상에서) control file의 복사 또는 이동은 오라클 서버를 죽게 만들 수 있으므로 반드시 shutdown 한 후 작업하도록 한다.

참고 : UMF vs OMF
1. UMF(User Managed File) : DBA가 control file, data file, redo log file 등의 위치를 직접 관리
2. OMF(Oracle Managed File) : Oracle이 자동으로 관리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